주흘산, 주작 덕룡, 달마, 땅끝
http://blog.daum.net/gsbaek/631
http://blog.daum.net/daumiddream/225
http://blog.daum.net/dychoi9692/182
http://blog.naver.com/ever5842/220432580732
http://blog.daum.net/kel1030/1889(트랙 있음)
1. 산 행 지 : 달마산
2. 산행일자 :20150301
3. 산행코스 : 미황사-달마산-도솔봉-도솔암-마봉리
4. 산행거리 : 10.5km
5. 산행시간 : 5시간30분
6. 산행참고 : 바위산으로 물기를 머금고있을때 상당히 위험함
7. 교통참고 :
8. 산행트랙 : 20150301_1046달마산(해남).gpx
9. 사진 및 기타의견을 라인아래에 등록 해주세요.
http://blog.daum.net/snowmiru/917
주작 덕룡산
(전남 강진)
주작산휴양림~해맞이전망대~주작산427봉(주봉)~작천소령~덕룡봉(주작산정상)~서봉(덕룡산정상)~동봉~소석문
(10.2km , 6시간 20분)
http://blog.daum.net/greatkim33/1041
http://blog.naver.com/giddnjs3688/220580226539
=========================================================================================
땅끝기맥은 동쪽으로 탐진강, 서쪽으로 영산강을 나누는 분수령 이다.
월출산 천황봉이 최고봉이고, 두륜산, 대둔산, 서기산 이외에는 500m 이하의 낮은 산세로
이어지지만 남도의 수석 전시장으로 불리듯 암릉구간이 많은 옹골찬 산줄기이다.
산자분수령의 원칙을 따진다면 별매산 이후로는 영산강이나 탐진강의 하구와는 멀어지는 듯
하지만, 우리나라 산줄기의 끝점까지 이어지는 명실공히 한반도를 북에서 남쪽 끝까지
이어진다는데 더 큰 의미를 둔다.
대간이나 정맥의 구분없이 백두산에서부터 이어지는 마루금으로는 가장 긴 산줄기이다.
백두산에서 우리나라 산줄기를 두루 거치면서 땅끝마을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의 종주기도
기대할 만하다.
섬을 제외한 우리나라 육지부의 최남단인 땅끝은 우리나라 바다를 구분짓는 기준점이기도 하다.
낙동정맥의 끝자락인 몰운대는 동해와 남해를 구분하는 기준점 이고, 땅끝은 서해와 남해을
구분하는 기준점이다. 송호리 갈두부락 사자봉 아래 땅끝탑에서 남서(방위각222)로
그은 선이 바로 서해와 남해의 경계선이된다.
백두산에서 내려오는 백두대간이 영취산에서 호남정맥으로 이어지고, 호남정맥 노적봉에서
우리나라 최남단 땅끝마을까지 이어지는 실제적인 한반도를 종단하는 산줄기인 셈이다.
땅끝은 한반도의 최남단으로 북위 34도 17분 21초의 해남군 송지면 사자봉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1530년 중종의 명에 의하여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하여 만든 신중동국여지승람 만국경위도편에서는
우리나라 전도(全圖)를 남쪽 기점을 땅끝 해남현으로 잡고, 이 곳에서부터 북쪽으로 함경북도
온성부에 이른다고 논하고 있다. 또한 육당 최남선이 1937년에 저술한 조선 상식문답에서는
해남 땅끝에서 서울까지 천리, 서울에서 함경북도 온성까지를 2천리로 잡아
우리나라를 3천리 금수강산이라고 하였다.
● 땅끝기맥 전체 개념도
● 땅끝기맥 구간 지도(1)
● 땅끝기맥 구간 지도(2)
[종주 구간 계획-7구간] | |||||
산행날짜 | 구간 | 주요산 | 산행코스 | 거리 | 산행시간 |
2014 | (km) | (시 간) | |||
09/13~14 | 1 | 계천산 | 바람재(호남정맥분기점)-각수바위봉-상수락재-개천산-궁성산-오두재 | 20 | 10:10 |
09/27~28 | 2 | 활성산 | 오두재-차일봉-국사봉-가음치-활성산-돈밧재- 불티재 | 21 | 10:00 |
10/11~12 | 3 | 월출산 | 불티재-사자봉-월출산(809m)-미왕재-도갑산(375m)-월각산(456m)-밤재 | 16 | 9:30 |
10/25~26 | 4 | 서기산 | 밤재-별뫼산-제안고개-장근봉-당재-서기산(511m)-계라리고개 | 21 | 9:40 |
11/08~09 | 5 | 주작산 덕룡산 | 계라리고개-복덕산-첨봉-덕룡산분기-주작산분기-오소재 | 15 | 9:30 |
11/22~23 | 6 | 두륜산 | 오소재-노승봉-가련봉-두륜봉-대둔산도솔봉- 대둔산중계소-닭골재 | 11 | 9:00 |
12/13~14 | 7 | 달마산 | 닭골재-달마산-떡봉-도솔봉-사자봉-땅끝 | 18 | 10:00 |
땅끝기맥의 개념과 지도
전남 장흥군 유치면에서 화순군 이양면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상의 839번 지방도로의
곰재(웅치)에서 올라서면,국사봉(499.1m),깃대봉(448m)을 지나고
삼계봉(5.3.9m)에 이르기 전 바람봉(노적봉) 헬기장(430m)에 올라선다.
이곳 바람봉(노적봉)에서 북으로 따로 분기하여
각수바위,계천산(400m),국사봉(614m),월출산(808.7m),월각산(456m)으로 이어지면서
영산강의 남쪽벽을 이루다가 별뫼산(464m),서기산(511m),첨봉(354m),두륜산(700m),
대둔산(671.5m),달마산(499m),도솔봉(421m)을 거쳐
우리나라 육지 최남단인 땅끝 마을에서 바다로 빠지는도상거리 약122.7km의 산줄기다.
동으로는 탐진강 ,서로는 영산강을 나누는 분수령이기도 한 땅끝기맥은
월출산 천황봉(808.7m)이 기맥의 최고봉이고 두륜산(700m),대둔산(671.5m) 외에는
500m도 안되는 낮은 산으로 어어지지만 ``남도의 수석전시장'' 으로 불리듯
암릉구간이 많은 아기자기 하면서도 옹골찬 산줄기로
산악인들로부터 ``다시 가보고 싶은곳'' 으로 주저없이 손꼽는 곳이기도 하다.
산자부 수령의 공식을 대입하자면, 별뫼산 이후로는 영산강이나 탐진강의 하구와는
멀어지는 듯도 하지만 우리나라 땅줄기의 끝점으로 간다는데 더 큰 의미를 둔다.
이렇게 볼때, 대간이나 정맥의 구분 없이 백두산에서 이어지는
마루금으로는 나라 안에서 가장 긴 산줄기가 된다.
언제 일지는 알수 없지만 ``땅끝에서 백두산까지'' 라는 제목의 종주기를 기대할만도 하다.
섬을 제외한 우리나라 육지부의 최남단인 땅끝은
더불어 우리나라 바다를 구분짓는 기준점이기도 하다.
낙동정맥의 끝인 부산 다대포 몰운대는동해와 남해를 가르는 기준점이고,
이곳 해남 땅끝은 서해와 남해를구분하는 기준점이 되는 곳이다.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갈두부락 사자봉 아래 땅끝탑에서
남서 방위각 225도로 그은선이 바로 서해와 남해의 경계선이 된다.
산경표의 땅끝기맥 산줄기
호남맥의 - 화악산 (華岳山) - 봉미산 (鳳尾山) - 쌍계산 (雙溪山) - 가음산 (加音山)
- 둔덕치 (屯德峙) - 화치 (火峙) - 월출산 (月出山) - 가학산 (駕鶴山) - 서기산 (瑞氣山)
- 마점산 (馬岾山) - 옥천산 (玉泉山) - 두륜산 (頭輪山) - 달마산 (達摩山).
주요 산 높이
바람봉(430) 소반위산(493) 촛대봉(393.3) 계천산400) 차일봉(382) 국사봉(614) 활성산(498)
월출산천황봉(808.7) 향로봉(743) 도갑산(401) 월각산(456) 별뫼산(464) 서기산(511)
첨봉(354) 두륜산(700) 대둔산(673) 달마산(499) 도솔봉(421) 사자봉(109.6)
땅끝기맥 개념도
땅끝기맥 지도
● 땅끝기맥 구간 지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