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권역

가리봉~주걱봉

온리하프 2015. 7. 15. 05:32
728x90

 

 

 

 

 

 

 

 

 

 

 

 

 

자양6교~가리봉~주걱봉

~느아우골~옥녀2교

 

       06:00     춘천 자택 출발

       07:42     자양6교(인제군 북면 한계리) 도착하여 산행 시작

       07:54     주능선 도착

       08:35     석문 통과

       12:14     가리봉 정상 도착

       13:00     가리봉 정상 출발

       13;34     이등삼각점(설악 23. 2007 재설) 도착

       14:46     밧줄 있는 낭떠러지 통과(여러가지 생각에 잠겼다가~ 목숨 내놓고 건너감. 매우 위험)

       15:18     주걱봉 안부 도착 

       15:43     느아우골 안부 도착

       18:48     옥녀2교(인제군 북면 한계리) 도착하여 산행 종료(느아우골:알탕, 낙석위험 매우 큼)

       18:50     히치하이킹(7.8km/8m)

       19:00     자양6교 도착하여 춘천으로 출

       20:20     춘천 자택 도착

 

 

 

 

트랭글 gps

 

 

 

 

 

 

 

 

 

 

 

 

 

 

안드로이드 gps & earth

 

가리주걱__20150714_0738.gpx

 

 

 

 

 

        07:42     춘천에서 06:00에 출발하여 07:20에 설악산국립공원 장수대분소 주차장에 도착. 

                         싸 갖고 온 샌드위치를 먹고, 무릅보호대*스택 등의 산행준비를 마치고 들머리인 자양6교로 출발했다.

 

                       이곳 주차장에는 금줄이 처져 있어 도로 옆에 간신히 주차하고 빠르게 숲속으로 올라 간다. 

                                입구에는 무인카메라가 24시간 작동되므로 모든 행동이 모니터링 되고 있다.

                                         한마디로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처음이라 모르고 올라 갔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다.

 

 

 

 

                      17:54     주능선에 도착한다. 좌측은 한계령 * 우측은 가리봉 방향이다.

 

 

 

 

                             08:35     석문을 통과하고~~

 

 

 

 

 

 

 

 

 

 

 

 

 

 

                   새벽에 내린 비로 인해, 풀잎에 매달려 있던 방울이 초반부터 흠뻑 적셔 버린다.

                              그래도 양말은 뽀송뽀송~~  새로 산 캠프라인 히페리온이 제값하는 군요!

 

 

 

 

 

 

 

 

 

                                  우람한 나무들이 많이 쓰러져 있습니다.

 

 

 

 

                               

 

 

 

 

 

 

 

 

 

 

 

 

 

 

 

 

 

 

 

                               

 

 

 

 

 

 

 

 

 

 

 

 

 

 

                                 슬슬 주걱봉이 보여지기 시작합니다.

 

 

 

 

 

 

 

 

 

                               12:14     드디어 가리봉 정상에 도착합니다.

 

 

 

 

                               설악의 마터호른으로 불리는 주걱봉이 멋지게 보여 짐니다

 

 

 

 

                                      날씨만 맑았다면 더욱 장관이었을 겁니다

 

 

 

 

 

 

 

 

 

                                왼쪽은 한계령 오르는 길이고 우측은 필례약수에서 올라오는 길입니다.

 

 

 

 

 

 

 

 

 

                                아무리 봐도 멋진 주걱봉과 삼형제봉~~

 

 

 

 

                                 방차통~  군생활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순간입니다.

 

 사단 직할대 중 하나인 통신대대 유선중대의 가설소대.

조수는 방차통을 등에 메고~

사수는 주머니에 니퍼와 뻰찌그리고 테이프, 어깨엔  TA-312 전화기를 메고 다닌다.

방차통 무게가 거의 30kg. 통에는 전화선이 있다.

작전지역에서 본부와 연락을 하는 데~

적의 감청이 쉬운 무선통신 보다 통신보안을 위해 유선통신을 한다.

 

 

 

 

 

 

                                                       서북능선의 안산이 보여 지고~~

 

 

 

 

                          그 아래 대승폭포(大勝瀑布)를 당겨 봅니다.

   금강산(金剛山)의 구룡폭포(九龍瀑布), 개성 대흥산성(大興山城)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우리나라 3대 폭포를 이룬다.

 

 

개성시 북쪽 16㎞ 지점에 있는 천마산(757m)과 성거산 사이의 웅장한 화강암 암벽에 걸쳐 있으며

높이 37m, 너비 1.5m. 북한 천연기념물 제 388호로 지정되어 있다.

박연폭포를 산성폭포라고도 하며

예로부터 명유 서경덕과 명기 황진이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유명한 곳입니다.

박연은 박씨네 연못이라는 뜻인데, 여기에는 예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져옵니다.

 

옛날 퉁소를 잘 부는 박진사가 폭포로 놀러 왔다가 선녀의 유혹에 빠져 용궁으로 따라갑니다.

그러자 그의 어머니가 아들을 찾아 헤매다가,

결국 찾지 못하고 절망한 나머지 폭포 물에 빠져 죽고 맙니다.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된 박진사도 어머니의 뒤를 따라 폭포 물로 뛰어 들지요.

그 뒤로 이 폭포의 이름을 박씨성을 따서 '박연 폭포'라 불렀다고 합니다.

 

훗날 이 폭포는 선녀가 살았다 전해지면서 "선폭(仙瀑)" 또는 "고모담"이라 불리기도 하였고~

폭포 위쪽에 있는 직경 8m의 박연(朴淵)은 큰 바위가 바가지 모양으로 패여 생긴 것 입니다.

 

 

 

폭포의 높이는 74m, 너비 4m 이고, 일명 중향폭포(衆香瀑布)라고도 한다.  

 십이폭포(十二瀑布)·비봉폭포(飛鳳瀑布)·조양폭포(朝陽瀑布)와 함께

금강산 4대 명폭의 하나인데 웅대하고 경치가 뛰어나 가장 으뜸으로 꼽힌다.

 

폭포벽과 그 바닥은 하나의 웅장한 화강암덩어리로 되어 있는 보기 드문 폭포이다.

화강암 절벽 위에 패인 우묵한 곳으로부터 은빛 물방울을 흩날리면서 쏟아지는 폭포수는

흰 비단필을 드리운 듯하며 이곳에서 울리는 폭포소리는 우레소리와 같다.

폭포 밑에는 돌절구 모양으로 깊이 패인 '구룡연(九龍淵, 깊이 13m 정도)'이라 부르는 폭호가 발달해 있으며,

옛날 금강산을 지키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폭포 위에는 여덟 개의 맑고 푸른 못이 층층으로 있는데 이것이 '금강산 8선녀'의 전설로 유명한 상팔담(上八潭)이다.

구룡연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금강산의 4대 절경의 하나로 불리우는 옥류동에 이르며, 다시 실개천과 합류하여 동해로 흘러든다. 주위의 팔담과 구룡연이 어울려 경치가 아름다우며 금강산의 여러 경승 중에서도 가장 으뜸이며,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폭포 앞 넓은 바위에는 신라 말 최치원이 시를 새겨놓은 곳이 있고,

폭포 우측 바위벽에는 '미륵불(彌勒佛)'이라는 거대한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글씨는 근세에 해강김규진의 서체로, 세 자의 글자 길이는 80척, 너비 2척 2촌, 깊이 7촌이다

 

 

 

 

 

13:34    설악 이등삼각점

 

 

 

 

                                        너무 멋진 주걱봉~~  가까이 보니 대단히 웅장합니다.

 

 

 

 

                                                    지나온 능선~~

 

 

 

 

                                 첫 번째 약간 위험구간~~

 

 

 

 

 

 

 

 

 

 

 

 

 

 

                                              지나온 능선들~~

 

 

 

 

                        가까이 와 보니 주걱봉 앞에 또 다른 봉우리가 있습니다.

 

 

 

 

                                        서북능선의 귀떼기청봉을 당겨 보고~~

 

 

 

 

                                                  안산도 당겨서 자세히 봅니다.

 

 

 

 

       14:46     제일 위험구간으로 목숨 걸고 건너야 합니다. 밧줄 위치도 선답자의 산행기에서 본 것과 다르게 놓여져 있습니다.

                      아래 작은 나무에 의지해야만 살아 남을 수 있습니다. 그 밑으로는 끝도 보이지 안는 절벽입니다.

 

                         전문 산악인들이 에베레스트에서 사고 당하는 이유를 충분히 깨닫게 해주는 곳입니다.

                              되돌아 가자니 너무 멀고, 간너자니 순간의 실수에.......

                                  

                              산행기를 많이 봤어도 이 정도 일줄은 몰랏습니다. 다들 하는 말이 조심하면 괜찮다고~~

                                       주사위는 던져 졌기에, 20여분 걸쳐 최선의 방법과 묘안을 짜내어 간신이 건너 왔습니다.

                         

                          전 날 가리산에 대해 알아보는대 2012년의 신문에 이곳의 사고소식을 전하는 기사의 댓글에~

                             "죽어서도 남 고생시키네, 가지말라는 금지구역은 왜 가서 국공과 119를 쌩고생 시켜?" 죽어도 싸다"

                                란 글이 수도 없이....     죽어도 곱게 죽으란 말이 있는 데!!  여기선 두 번 죽습니다. 에효~~

 

 

 

 

                                       옆에서 본 주걱봉~~

 

 

 

 

                                                주 깊은 협곡~~

 

 

 

 

 

 

 

 

 

                          15:18    주걱봉 안부. 이곳으로 주걱봉을 오르내렸나 봅니다. 밧줄 없으면 안되구요!

 

 

 

 

                                      주걱봉을 옆으로 돌고~~

 

 

 

 

 

 

 

 

 

                        15:43     느아우골 안부. 우측이 느아우골 방향입니다. 직진은 삼형제봉 방향이고~~

 

 

 

 

                                       이렇게 나뭇가지 밑으로 통과합니다.

 

 

 

 

 

 

 

 

 

 

 

 

 

 

단풍잎이 지난 가을을 떠올려 주네요!

 

 

 

 

                              이름도 없는 폭포가 멋집니다. "느아우골 폭포"라면 되겠습니다.

 

 

 

 

                            남설악 삼형제봉과 주걱 사이의 느아우골에서 바라 보이는 서북능의 안산~

 

 

 

 

 

 

 

 

 

 

 

 

 

 

                                 뒤돌아 보니 거쳐온 주걱봉이 멀리 솟구쳐 있습니다.

 

 

 

 

             거의 다 내려온 듯 싶습니다. 

              낙석위험이 곳곳에 존재하는 느아우골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계곡이 협소해 폭우가 아니더라도 소양댐 수문 개방할 때 솟구쳐 오르는 물살과 비교될 정도입니다. 

       주먹만한 돌이 떠 받 있는 5층 건물만한 거대한 바위가 작은 충격에도 금새 굴러내릴 것만 같은 아슬아슬한 곳입니다.

 

 

 

 

                      와~~ 옥녀2교가 보입니다.  3시간 동안 계곡을 걸어내려 왔습니다. 돌*물*폭포 피해서~~

 

 

 

 

                 물이 너무 차거워서 발이 시려 채 1분을 담그고 있지 못하겠습니다.

                         땀으로 뒤범벅된 몸을 씻기니 날아갈 것만 같습니다. 무릅도 냉수마찰을 시키고~~

 

 

 

 

                                             곡 우측 펜스를 넘어 갑니다

 

 

 

 

          18;48     느아우골 입구~~

                        이곳에서 히치하이킹 시도한지 2분도 채 안되어 젊은 친구가 승용차를 세워 줍니다.

                              너무너무 고맙고 고맙지요! 옷이 땀으로 범벅이 되어 있었는 데.....

                                   인제 사는 데, 주문진에 와이프를 데리러 가는 중이라며, 이곳엔 콜택시도 안 온다고.....

                                         다시 한 번 젊은 친구에게 감사한 마음을 보냅니다~~^*^

 

                           거리가 7.8km이고 올라가는 길입니다. 차로 8~10분 정도 소요되니 속보로 2시간 걸어야 합니다.

                                 그로고 보니 곡절 많은 코스였습니다. 국공과의 숨바꼭질, 낭떠러지에 깊은 계곡까지.....

 

                                                 글을 읽는 분들께 한 말씀 올리면~   "절대로 가지 마시길 바랍니다"

 

 

 

 

가리봉(필례-가리봉-주걱봉-삼형제봉-장승고개)트랙.gtm

 

 

 

 

 

 

 

 

 

 

 

 

가리주걱__20150714_0738.gpx
0.08MB
가리봉(필례-가리봉-주걱봉-삼형제봉-장승고개)트랙.gtm
0.06MB